EVENT

24시간 혜택! 어떤 작품이든 33,000원 >

신규고객 체험 특가

이은경

Lee Eun Kyung

상명대학교 미술학과 서양화 학사

40점의 작품
40점의 작품
개인전
2023 초대개인전 기획전 심장을 생각하는 시간 (부천시청역갤러리)
초대개인전 (은평롯데몰 아르떼갤러리)
2021 개인전 (경인미술관 아뜰리에)
초대개인전 (창의문뜰)
2019 초대개인전 (원천갤러리)
개인부스전 2019전국지회 및 서울지부 우수작가 초대전 (갤러리라메르.서울인사동)
2015 초대개인전 글쓴 엄마 그린딸 전 (서울대병원 본원)
2012 개인전 (갤러리 수 (인사동))
2011 초대개인전 (ONLY ART GALLERY)
초대개인전 (ESPRESSO HAUS GALLERY)
개인전 (영아트갤러리)
개인전 (와부갤러리)
2010 개인부스전 KPAM 대한민국예술제. (서울 예술의전당)
개인부스전 CKMAF 당대중한우수미술작품전. ( 중국 북경798)
단체전
2025 제 26회 은평미술협회 은평미술의 시선전 (인사동 조형갤러리)
2024 은평미술협회전 은평미술의 오늘 ((조형갤러리))
구스갤러리 소품초대전 ((구스갤러리))
2023 은평미술협회전 은평미술의 오늘 ((인사아트프라자))
6인의“5월의 선물전” ((티투갤러리앤까페))
2022 서울25개구 한국미술협회 회장단초대전 ((인사아트센터,서울인사동))
은평미협특별초대전 ((삼각산금암미술관.서울진관동))
제23회 은평미술협회전 ((인사아트프라자.서울인사동))
2021 제22회 은평미술협회전 (조형갤러리.서울인사동)
2020 제21회 은평미술협회전 (온라인)
2019 썬갤러리개관초대전 (갤러리썬. 경기 용인수지)
제16회 한강의 흐름전 (강동아트센터,서울상일동)
제20회 은평미술협회전 (은평문화예술회관.서울은평구)
은평 작가 협력전 우리 마을 화가 (삼각산금암미술관.서울진관동)
은평벚꽃축제소품전 (은평불광천야외전시장.서울은평구)
2018 제19회 은평미술협회전 (조형갤러리.서울인사동)
2017 제93회 구상전회원전 (갤러리라메르.서울인사동)
제18회 은평미술협회전 (은평문화예술회관.서울은평구)
2016 구상전소품전 (갤러리미술세계)
구상전회원전 (인사아트플라자갤러리)
제17회 은평미협전 (인사아트플라자갤러리.서울인사동)
2015 제90회구상전회원전 (서울시립미술관 경희궁 분관)
2014 아르모니아전 (줌갤러리.서울서교동)
2013 아르모니아전 (줌갤러리.서울서교동)
2012 제17회 남양주미술협회 정기전.야외조각전 (와부행정타운 전시실.경기도남양주)
Zoom전 (갤러리환.서울인사동)
2011 제3회 고래고래회전 (와부갤러리.경기도남양주)
광화문 국제아트페스티벌 (세종문화회관. 서울)
자연사람미술의 어울림전 (포천반월아트홀.포천)
제16회남양주미술협회 정기전.야외조각전 (와부행정타운 전시실)
전업미술협회 청년작가조망전 (갤러리올.서울관훈동)
2010 고나우전 (스카이연갤러리.서울 인사동)
제84회 구상전회원전 (성남아트센터. 경기성남)
제15회남양주미술협회 정기전.야외조각전 (와부행정타운 전시실)
M갤러리초대전 (M갤러리.충남 대전)
전업미술협회 청년작가조망전 (갤러리올. 서울 안국동)
고래고래초대전 (리더스 갤러리 수. 서울 인사동)
구상전 기획 초대전 (경주세계문화엑스포공원 문화센터전시장. 경주)
2009 고래고래초대전 (리더스 갤러리 수. 서울인사동)
동막회화5인전 (와부행정타운전시장. 경기 남양주))
2008 창립40주년 제79회 구상전100호회원전 (세종문화회관. 서울 종로)
2004 제33회 구상전공모대전 특선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2002 제31회 구상전공모대전 (특선)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경원아트홀 기획 초대전 (원아트홀. 전주)
제29회 청추전 (도쿄도미술관.일본 도쿄)
2001 여류7인 초대전 (갤러리 서호. 서울 인사동)
제30회 구상전공모대전(특선)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수록/협찬
2022 심부전과 살아가기 (작품수록)
2015 수필집 글쓴엄마 그린딸 (작품수록)
수상/선정
2024 은평미술상 (조형갤러리)
2019 서울지부우수작가상 (갤러리 라메르)
2002 일본청추전장려상 (도쿄도미술관.일본 도쿄)
구상전특선 (국립현대미술관)
2001 구상전 특선 (국립현대미술관)
기타
2025 서울아트페어 (SETEC)
유아트쇼룸 (서울롯데호텔 11층)
2024 서울아트쇼 (코엑스)
핑크아트페어 (jw메리어트 서울 16층)
조형아트페어 (코엑스)
2015 인도 첸나이 비엔날레 (라리트 칼라 아카데미.인도)
서울오픈아트페어 (코엑스)
2014 서울오픈아트페어 (코엑스)
2013 SEOUL ART SHOW (코엑스)
HAND MADE KOREA FAIR (코엑스)
2012 HIAF 하노이 국제 아트페어 (하노이 크라운 파라자 호텔. 베트남)

작가의 말

따뜻한 색감과 유기적인 형태를 통해 일상의 기억과 감정을 떠올리게 하고자 하여 위로와 편안함을 주고자 합니다.

Q. 작가가 되기로 결심하게 된 계기는 무엇이었나요?
어릴 때부터 그림을 그리는 것이 제일 행복했습니다.
초등학교3학년쯤 미술학원에서 뎃생이라는 것을 배우고 너무 재미있던 기억이 있습니다. 하루종일 그림을 그리고 집에 오면 콧속에서 흑연가루가 나와 충격 받았던 기억이 납니다. 그 흑연을 보고 아 나는 그림을 계속 그려야겠구나 하고 생각했습니다.

Q. 작품을 통해 말하고자 하는 것은 무엇인가요?
2001년부터 2014년까지 저는 ‘향기(Perfume)’, ‘보이지 않는 시간’, ‘유토피아’라는 주제로 추상 작업을 해왔습니다. 감정과 직관을 중요하게 생각하며 작업했지만, 어느 순간 구체적인 형태와 이야기를 담아내고 싶다는 마음이 들었습니다. 이를 통해 위로와 희망을 전할 수 있는 그림을 그리고 싶어졌습니다. 제 작품이 보는 이들에게 희망과 긍정의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Q. 주로 사용하시는 표현 방법과 스타일은 무엇이고,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저는 예전 추상작업이나 지금의 구상작업 또한 두툼하게 물감을 올리고 또 다시 긁어내고 또 다시 올리는 시간이 들어간 작품을 하고 있습니다.

Q. 가장 애착이 가거나 특별한 작품이 있으신가요?
암 투병 중인 어머니를 위하여 그린 네잎클로버 동산에서 기도하는 소녀작품입니다. 글쓴엄마 그린딸의 표지그림으로 어머니는 암4기로 13년째 버티고 계시는 기적의 여인이십니다.

Q. 주로 어디에서 영감을 얻으시나요?
하루하루 지내며 소소한 행복을 느낄때 저는 그 순간이 반짝인다고 생각되어 집니다. 주로 일상에서 영감을 얻습니다.

Q. 대중들에게 어떻게 기억되길 바라시나요?
희망이 필요할 때마다 보는이의 공간을 환하게 비춰주는 그림을 그리는 작가로 기억되고 싶습니다.

인천세종병원 김경희 심장이식센터장, ‘심부전과 살아가기’ 책 출간
책 표지 작품 수록
브릿지경제
화제의 책|암투병하는 엄마를 위한 딸의 기도 ‘글쓴 엄마 그린 딸’
병마에 당당히 맞서 싸우는 용기 있는 엄마와 그런 엄마의 버팀목이 돼 주는 딸의 그림이 한 권의 책으로 묶여 눈길을 끈다. 본격적인 겨울추위를 앞두고 사람들의 가슴을 따뜻하게 만들어 줄 <글쓴 엄마 그린 딸>(디자인공간)이다. 이 책은 저자 한인숙씨가 겪어낸 근 3년간의 암투병기다. 한씨는 지난 2013년 3월 유방암 4기 선고를 받고 절망에 빠진다. 하지만 한씨는 아픔을 겪으면서 작은 것에 더욱 애착이 갔고, 삶에 대한 애정도 깊어갔다. 한씨에게는 나무 끝에 나부끼는 바람의 살랑거림도 환희였고, 따스하게 내리쪼이는 햇볕 한 조각도 감사의 대상이었다. 같은 병동의 젊은 환자들을 보면서는 안타까움에 마음이 저려왔다. 한씨는 수십 차례의 항암치료를 받으며 느꼈던 일상의 일들을 글로 썼다. 그런 엄마를 지켜보고 지원해 주던 딸은 엄마의 글에 맞춰 그림을 그렸다. 한씨의 암투병은 가족을 모아들이는 자석이 됐다. 제각기 자기 일에 빠져 모래알처럼 흩어지던 가족은 엄마의 아픔에 녹아 함께 진한 곰국이 돼 주변 사람들의 허기까지 채워 준다. ‘힘내세요 금애씨’나 ‘안나 할머니’의 글에서 보듯이 한씨는 아픈 몸으로도 일가친척을 끌어안고 주저앉는 이웃을 일으켜 세운다. 그런 엄마의 쾌유를 비는 딸의 기도는 글 쓴 엄마의 힘이 되고 엄마의 투병기는 그린 딸의 작품 씨앗이 됐다.
스포츠경향 (언론보도)
유방암 환우 글 그림전 개최
암병원 통로 내 글쓴 엄마, 그린 딸 전시 - 암투병하는 엄마를 위한 딸의 기도
서울대학교 병원